すごいですね。
すごいですね。
스고이데스네
대단하네요.
단어
すごい 대단하다, 엄청나다
학습포인트포인트
「すごい」는 '굉장하다, 대단하다,무시무시하다' 등의 뜻이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다.
「すごいですね」라는 말은 '대단하네요'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고
「すごい 美人(びじん): 대단한 미인」,
「すごい 顔(かお)で にらむ : 무서운 얼굴로 노려보다」와 같은 표현도 익혀두자.
A: 英語(えいご)が ぺらぺらですね。すごいですね。
영어 잘하시네요. 굉장하네요.
B: いいえ。たいした ことじゃ ないです。
아니요. 그렇게 대단한 거 아닙니다.
目(눈) 과 관련된 관용구
目が明く
めがあく 눈이 뜨이다, 눈에 보이게 되다. <사물을> 깨닫게 되다.
目がいい
めがいい 시력이 좋다, 안목이 있다.
目が利く
めがきく 안목<분별력>이 있다.
目が眩む
めがくらむ <강한 빛 등을 받아> 현기증이 나다.
目が肥える
めがこえる 사물을 보는 눈이 높다.
目が冴える
めがさえる 눈이 말똥말똥하다. <흥분으로 등으로> 잠이 안 오다.
目が覚める
めがさめる <잠에서> 깨다, 정신을 차리다.
目が据わる
めがすわる <몹시 취하거나 노하여> 눈동자가 움직이지 않다.
目が高い
めがたかい 눈<안식>이 높다.
目が近い
めがちかい 근시이다, 근시안 적이다.
目が出る
めがでる <주사위를 던져> 기대했던 숫자가 나오다.
目が届く
めがとどく 눈길이 닿다. 주의 감독이 미치다.
目が飛び出る
めがとびでる 눈알이 튀어나오다.
目が無い
めがない 안목이 없다, 분별력이 없다.
甘い物に目が無い
あまいものにめがない 단것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目が離せない
めがはなせない 눈을 뗄 수 없다, 한눈을 팔수 없다.
目が回る
めがまわる 눈이 핑핑 돌다, 현기증이 나다.
目から鱗が落ちる
めからうろこがおちる <어떤 계기로> 갑자기 잘못을 깨닫다.
目から鼻に抜ける
めからはなにぬける 매우 영리하다.
目から火が出る
めからひがでる 눈에서 불이 번쩍 나다.
目と鼻の先
めとはなにさき 엎드리면 코 닿을 데.
目に余り
めにあまり <너무 심해서>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다.
目に一丁字も無い
めにいつていじもない 낫 놓고 기억자도 모른다, 일자무식이다.
目に浮かぶ
めにうかぶ 눈에 선히 떠오르다.
目に映る
めにうつる 눈에 비치다.
目に角を立てる
めにかどをたてる 눈에 쌍심지를 켜다.
目に沁みる
めにしみる <연기 등이 들어가> 눈이 아리다.
目にする
めにする 보다.
目に立つ.
めにたつ 눈에 띄다, 돋보이다.
目に付く
めにつく 눈에 띄다, 눈앞에 어른거리다.
目に留る
めにとまる 눈에 띄다, 마음에 들다, 관심을 끌다.
目に入る
めにはいる 눈에 들어오다.
目には目を歯には歯を
めにはめをはにははを 눈에는 눈 이에는 이.
目に触れる
めにふれる 눈에 띄다, 보이다.
目に見える
めにみえる 뚜렷이 눈에 보이다.
目にも留らぬ早業
めにもとまらぬはやわざ 전광석화 같은 솜씨, 매우 빠르다.
目に物言わす
めにものいわす 눈으로 의사를 전하다.
目に物見せる
めにものみせる 혼내주다, 따끔한 맛을 보이다.
目の上のたん瘤
めのうえのたんこぶ 눈 위에 혹, 눈엣 가시.
目の黒い内
めのくろいうち 살아 있는 눈동자.
目の付け所
めのつけどころ 특히 주의해야 할 점, 착안점.
目の中に入れても痛くない
めのなかにいれてもいたくな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귀엽다.
目は口ほどに物を言う
めはくちほどにものをいう 눈은 입만큼 말을 한다.
目は心の鏡
めはこころのかがみ 눈은 마음의 거울.
目引き袖引き
めひきそでひき 눈짓을 하거나 소매를 당겨 서로 의사를 전하는 모양.
目も当てられない惨状
めもあてられないさんじょう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참상.
目もくれない
めもくれない 거들떠보지도 않다.
目を疑う
めをうたがう 눈을 의심하다.
目を奪う
めをうばう 넋을 빼앗다, 정신없이 보게 하다.
目を覆う
めをおおう 눈을 가려 볼 수 없게 하다. 눈을 가리고 모르는 체하다.
目を落とす
めをおとす 시선을 떨 구다, 고개를 숙이다.
目を掛ける
めをかける 눈여겨보다, 주시하다, 주목하다, 보살피다.
目を掠める
めをかすめる 남의 눈을 피해 몰래하다.
目を配る
めをくばる 사방을 주의해서 살피다.
目を晦ます
めをくらます 남의 눈을 속이다.
目を擦る
めをこする 눈을 비비다, 어떤 일이 꿈인가하고 의심하여 확인하다
目を凝らす
めをこらす 응시하다, 지그시 지켜보다.
目を覚す
めをさます 잠을 깨다, 정신을 차리다.
目を皿にする
めをさらにする 눈을 크게 뜨고 보다.
目を三角にする
めをさんかくにする 눈에 쌍심지를 켜다.
目を白黒させめ
めをしろくろさせる <괴롭거나 몹시 놀라서> 눈알이 희번덕거리다.
目を付ける
めをつける 주목하다, 눈여겨보다, 점찍다.
目を瞑る
めをつぶる 눈을 감다, 못 본체하다.
目を転じる
めをてんじる 눈을 돌리다, 다른 쪽을 보다, 사고방식을 바꾸다.
目を通す
めをとおす 훑어보다, 대충보다.
目を留める
めをとめる 주의하여 보다, 주시하다.
目を盗む
めをぬすむ 남의 눈을 피해 몰래 하다.
目を離す
めをはなす 눈을 떼다, 한눈팔다.
目を光らせる
めをひからせる 눈을 번뜩이다, 엄중히 감시하다.
目を引く
めをひく 눈길을 끌다.
目を伏せる
めをふせる 눈을 내리 깔다. 눈을 내리 뜨다.
目を細くする
めをほそくする 눈을 가늘게 뜨다. 흐뭇해하다.
めを細める
めをほそめる <먼 데 것을 잘 보려고> 눈을 가늘게 뜨다.
目を丸くする
めをまるくする <놀라서> 눈을 동그랗게 뜨다.
目を回す
めをまわす 기절하다, 바빠서 허둥지둥하다.
目を見張る
めをみばる <감탄하며> 눈을 크게 뜨다.
目を剥く
めをむく <놀람, 분노로> 눈을 부릅 뜨다.
目を向ける
めをむける 눈을 돌리다, 관심을 보이다.
目を遣る
めをやる 시선을 보내다. 바라보다.
착용동사(입다,벗다,신다..)
(上着、セㅡタㅡ、着物(きもの)、ワンピス)を 着(き)る
상의, 스웨터, 옷, 원피스를 입다
(ズボン、スカㅡト、靴(くつ)、靴下(くつした))を 履(は)く
바지, 치마를 입다 / 신발, 양말을 신다
(帽子(ぼうし)、ヘルメット)を 被(かぶ)る
모자, 헬멧을 쓰다
(ネクタイ、ベルト、おび)を しめる
넥타이, 벨트, 오비(기모노위의 허리띠)를 매다
(手袋(てぶくろ)、指輪(ゆびわ)、時計(とけい))を はめる
장갑, 반지를 끼다 / 시계를 차다
(ブロㅡチ、ピアス)を つける
브로치를 달다 / 피어싱을 하다
9眼鏡(めがね)、マスク、エプロン)を かける
안경을 쓰다 / 마스크, 앞치마를 하다
(イヤリング、指輪(ゆびわ)、ヘッドホㅡン(headphone))を:する하다
(眼鏡(めがね)、ボタン、ネクタイ)を:外(はず)す벗다,풀다
* 상반신,하반신에 관계없이 '벗다'에는 ぬぐ를 사용
にこにこ,むくむく,しょんぼり
|
||||||||||||||||||||||
| ☞ じろっ : 날카롭게 째려보는 눈초리의 모양 ☞ ビリリリ : 찌지직. 천 조각 같은 것이 찢어지는 소리 |
수동태 만드는 법 ( れる, られる )
<동사>
수동태
우리말은 능동, 수동이 별 의식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일본어는 자기 중심의 기술이 많아 수동형이 자주 쓰인다. 예를 들면 「先生(せんせい)が私(わたし)をしかりました」(선생님이 나를 꾸짖었습니다)란 표현을 당하는 나의 입장에서 기술하는 것이 수동태인데, 이 문장을 수동태로 고치면 「私は先生にしかられました」(나는 선생님에게 야단을 맞았습니다)가 된다.
◈ 수동태 만드는 법
◐ 5단동사: 어미 「ウ단」을 「ア단」으로 바꾸고 「れる」를 붙인다.
押(お)す(밀다) → 押される(밀리다)
踏(ふ)む(밟다) → 踏まれる(밟히다)
しかる(꾸짖다) → しかられる(꾸중 듣다)
▶ 昨日(きのう)雨(あめ)に降(ふ)られました。(降る - 降られる)
어제 비를 맞았습니다.
◐ 상하 1단 동사: 어미 る 대신 られる를 붙인다.
見(み)る(보다) → 見られる(보여지다)
食(た)べる(먹다) → 食べられる(먹히다)
蹴(け)る(차다) → 蹴られる(차이다)
▶ 私は友だちにいじめられました。(いじめる - いじめられる)
나는 친구로부터 들볶였습니다.
◐ する는 される
◐ くる는 こられる
いそいそ,どっさり,げっそり,きっぱり
|
|||||||||||||||||||||||||||||
| ☞ げげげ- : 기겁을 하며 놀라는 모양 ☞ ちょきん : 싹둑. 가위로 무엇인가를 자르는 소리 |
오늘의 일본어 회화 - 週休二日(しゅうきゅうふつか)
오늘의 일본어 회화 - 이시하라先生
週休二日(しゅうきゅうふつか) : 주 5일 근무(제)
----------------------------------------------------------------------------
*サラリーマン : (샐러리맨) → ビジネスマン(비지니스맨)
*休(やす)み : 쉬는 날, 노는 날, 휴일, 방학, 휴식
*休暇(きゅうか)をとる : 휴가를 얻다(가다)
*そのかわり(に) : 그 대신(에)
→ 課長(かちょう)のかわりに : 과장님 대신, 課長にかわって : 과장님을 대신해서
*すごく : 굉장히 → すごい : 굉장하다
*ゴールデンウィーク : 황금주간(연휴), 골든위크(goldenweek)
4월 초에서 5월 초에 걸친 휴일이 가장 많은 주간
*お盆(ぼん)休(やす)み : お盆(8月13日)을 전후한 연휴(13日~16日)
불교식으로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는 시기이다.
cf) 추석(秋夕) : 음력8月15日 → 日本 : 양력 8月15日
----------------------------------------------------------------------------
金 :日本(にほん)のサラリーマンは休(やす)みが多(おお)いでしょう。
石川(いしかわ)さんの会社(かいしゃ)は週休二日(しゅうきゅうふつか)ですか。
石川:そうですが、隔週(かくしゅう)の週休二日ですよ。
金 :それでもうらやましいですね。
石川:そのかわり週休二日じゃない週(しゅう)はすごく忙(いそが)しくて大変(たいへん)です。
金 :そうでしょうね。
有給休暇(ゆうきゅうきゅうか)は一年(いちねん)に何日(なんにち)ですか。
石川:年間(ねんかん)13日間です。
そして、長(なが)い休(やす)みの時期(じき)は年末(ねんまつ)と正月(しょうがつ)、
それと4月の終(お)わりから5月の初(はじ)めのゴルデンウィーク、8月のお盆(ぼん)休みです。
----------------------------------------------------------------------------
김 : 일본의 샐러리맨은 쉬는 날이 많지요?
이시카와씨의 회사도 주 5일 근무제입니까?
이시카와 : 그렇긴 합니다만, 격주로 주 5일 근무입니다.
김 : 그래도 부럽습니다.
이시카와 : 그 대신 주 5일 근무가 아닌 주는 아주 바빠서 힘들어요.
김 : 그렇겠지요. 유급 휴가는 1년에 며칠입니까?
이시카와 : 연간 13일입니다.
그리고 긴 휴가 시기는 연말과 정월,
그리고 4월 말부터 5월초 골든위크, 8월의 「오봉」때입니다.
----------------------------------------------------------------------------
*週休二日(しゅうきゅうふつか) : 주 5일 근무(제)
*年間(ねんかん)) : 연간 → 月間(げっかん) : 월간, 週間(しゅうかん) : 주간
*隔週(かくしゅう) : 격주 → 一週間おきに : 한 주일 걸러
*時期(じき) : 시기 → 期間(きかん) : 기간
*年末(ねんまつ) : 연말 → 年始(ねんし) : 연초
*正月(しょうがつ) : 정월, 설날
*それでも : 그래도
*うらやましい : 부럽다
れる·られる - 수동, 가능, 존경, 자발
<조동사>
れる·られる
조동사 「れる·られる」는 동사에 붙어서 「수동」「가능」「존경」「자발」의 뜻을 나타낸다.
◈ 수동표현
☞ 동사 뒤에 와서 수동적으로 어떤 동작을 받거나 당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로 인해서 피해를 받다」는 뜻으로도 자주 쓰인다.
▷ 昨日(きのう)満員電車(まんいんでんしゃ)の中(なか)で人(ひと)に押(お)されて転(ころ)んでしまいました。
어제 만원 전철 속에서 사람들에게 떠밀려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 가능표현
☞ 동사 뒤에 와서 「∼할 수 있다」는 가능의 뜻을 나타낸다. 가능표현은 「れる·られる」 표현 외에 동사원형에 「ことができる」를 붙인다든가, 「できる」라는 동사 자체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ます」형에다가 「得(え)る」를 붙이는 방법이 있다.
▷ あれは忘(わす)れられない思(おも)い出(で)だった。
그것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이었다.
◈ 존경표현
☞ 듣는 사람이나 화제의 인물을 높여서 말할 때 쓰인다.
▷ 先生(せんせい)は連休(れんきゅう)にどこかへ行(い)かれますか。
선생님은 연휴에 어디 가십니까?
◈ 자발표현
☞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어떤 동작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자발은 나타내는 동사가 한정되어 있는데, 「思(おも)う、思い出(だ)す、感(かん)じる、考(かんが)える、案(あん)じる、心配(しんぱい)する、覚(おぼ)える、泣(な)く」등이 있다.
▷ このアルバムを見(み)るたびに、あのころのことが懐(なつ)かしく思い出される。
이 앨범을 볼 때마다 그때의 일이 그리워진다(그립게 생각난다).
ご苦労さまでした。
ご苦労さまでした。
고쿠로-사마데시따
수고했습니다.
단어
ご苦労(くろう) 수고
학습포인트
「ご苦労(くろう)さまでした」는 '수고했습니다' 라는 뜻으로
「ご苦労さま」, 「ご苦労さん」이라고도 한다. 주의할 점은
「お疲(つか)れさまでした」와는 달리,
「ご苦労さまでした」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노고를 위로할 때 쓰는 표현이므로
자신보다 윗사람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A : 部長(ぶちょう)、お先(さき)に 失礼(しつれい)します。
부장님, 먼저 들어가겠습니다.
B : はい、ご苦労(くろう)さまででした。
응, 수고했어요.
회화체<정신없이 자다>
*爆睡(ばくすい)する 정신없이 자다
폭발 폭(爆), 졸음 수(睡)를 써서 잠이 폭발한다. 즉 너무 피곤해서 정신없이 자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신없이 자다', '깊은 잠에 들다', '깊은 잠에 빠지다', '세상모르게 자다' 등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와 비슷한 '熟睡(じゅくすい)숙면'은 말 그대로 푹 자는 것, 단잠을 뜻하는 말 입니다.
A: さっき電話したのに、なんで出なかったの?
B: ごめん、爆睡しちゃっててさ。
A: 何回も電話したのに。
B: 最近忙しくて疲れてたからか、ちょっと休憩(きゅうけい)するつもりが、爆睡しちゃってたんだよね。
A: 좀 전에 전화했는데 왜 안 받았어?
B: 미안, 정신없이 자고 있었어.
A: 몇 번이나 전화했는데.
B: 요즘 일이 바빠 피곤해서 좀 쉰다는 게 세상모르게 자 버렸어.
てきぱき,ぐちゃぐちゃ,ちらっ
| てきぱき |
|
||
|
|||
|
ぐちゃぐちゃ |
|
||
|
|||
|
ちらっ |
|
||
|
|||
|
うろうろ |
|
||
|
|||
|
うんざり |
|
||
|
今 出ないと 遲(おく)れるぞ。
今 出ないと 遲(おく)れるぞ。
이마 데나이또 오꾸레루죠
지금 안 나가면 늦을거야
단어
出(で)る 나가다
遲(おく)れる 늦다, 지각하다
학습포인트
ぞ 강조·다짐할 때 쓰는 말 「遲(おく)れるぞ」는 `늦을거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ぞ」는 문장 끝에 붙어서 말하는 사람의 주장을 강하게 나타내며
주로 남자들이 사용하는 말이다.
A: いよいよ 明日(あした) 決勝戰(けっしょうせん)だよね。
드디어 내일 결승전이네.
B: 今年(ことし)は 必(かなら)ず 有償(ゆうしょう)するぞ。
올해는 반드시 우승하겠어.
私も 今日から 運動しなく茶(ちゃ)。
私も 今日から 運動しなく茶(ちゃ)。
와따시모 교-까라 운도-시나꾸짜
나도 오늘부터 운동해야겠는걸.
단어
今日(きょう) 오늘
運動(うんどう) 운동
학습포인트
~しなくちゃ ~해야겠군 「運動(うんどう)しなくちゃ」는
「運動しなくては」의 회화체이다. 직역하면` 운동하지 않아서는`이란 뜻이 되는데
이것을 자연스럽게 의역하면 `해야겠는걸`이 된다.
A: もう 來週(らいしゅう)から 試驗(しけん)だよね。
벌써 다음 주부터 시험이네.
B: そうだね.一生懸命(いっしょうけんめい)
勉强(べんきょう)しなくちゃ。
그렇네, 열심히 공부해야겠는걸.
バイキング ,のみほう-だい,たべほうだい
バイキング
우리가 흔히 뷔페라 부르는 원하는 만큼 먹는 곳. 일본에서는 뭐라고 할까요?
일본도 ビュッフェ (뷔페) 라는 말이 있으나, 우리가 말하는 뷔페는 일본에서는
バイキング (바이킹)이라고 합니다.바이킹은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한 사람당 가격을 지불합니다. 바이킹 이외에 술집에서 뷔페식으로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해진 시간 안에 술을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飮み放題(のみほう-だい,노미호-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또 食べ放題(たべほうだい, 타베호-다이)는 술 안주나 식사를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또는 이 둘을 합한 飮み食べ放題(のみたべほうだい,노미타베호-다이)
라는 코스가 있어, 회식이나 단체모임의 경우 많이 이용합니다.
恋(こい)와 愛(あい)의 미묘한 차이!
안녕하세요
어느덧 여름의 향기가 물씬 느껴지는 5월이 되었습니다
ㅎㅎ날씨 만큼이나 따뜻하고 아름다운 연인과 함께이신 분들 많으시죠?
한국에서는 연인간에 '좋아해'보다는 '사랑해'라는 말이 더 익숙한데요
일본에서는 '사랑해'보다는 好(す)きだ(좋아해)-大好(だいす)きだ(많이좋아해) 정도의 말을 더 많이 쓴답니다!
일본어로 사랑한다는 동사는 愛(あい)してる-아이시떼루 로 익숙한 愛(あい)する와
恋(こい)する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愛(あい)する의 경우 '모든 사랑'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고
恋(こい)する의 경우 '연인간의 사랑'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私(わたし)はお母(かあ)さんを愛(あい)してる。
나는 어머니를 사랑한다 (부모자식간의 사랑)
私(わたし)はお母(かあ)さんを恋(こい)してる。
나는 어머니를 사랑한다 (연인간의 사랑)
전혀 다른 의미가 되었죠?
이렇게 뉘앙스 차이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구분지어서 사용해야합니다.
연인일 경우에는 愛(あい)する, 恋(こい)する 모두 사용 가능하답니다ㅎㅎ
그렇다면 한국에서 자주 쓰는 '그 사람 내 애인이야'라는 말은 어떻게 쓸까요?
사랑 애 (愛) + 사람 인 (人) 해서
愛人(あいじん)이라고 쓸 것 같지만
일본에서 愛人(あいじん)은 '불륜상대'를 의미한답니다
그렇다면 '사랑하는 연인'이라는 말은 어떻게 쓸까요?
'연인간의 사랑'을 의미하는 恋(こい)する - 恋人(こいびと) 라고 사용합니다!
그 외에도
彼氏(かれし)-남자친구
彼女(かのじょ)-여자친구
정도로 가벼운 표현도 있어요 ㅎㅎ
한국과는 살짝 다른 미묘한 뉘앙스!
외국어를 공부 할 때 굉장히 흥미로운 재미요소입니다:)
오늘도 즐겁고 유익하게 일본어공부 하세요!
화이팅
鈴木さんは ご存じですか。
鈴木さんは ご存じですか。
스즈끼 상와 고존지데스까
스즈끼 씨는 아십니까?
단어
ご存(ぞん)じ 아시다
학습포인트
ご存(ぞん)じ 아시다(존경어) 위에서 쓰인 것과 같이
일본어에도 우리나라처럼 그 자체에 존경의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들이 있다. 대표적인 「召(め)し上(あ)がる : 드시다, 마시다」,
「ご覽(らん)になる : 보시다」,「いらっしゃる : 계시다, 가시다, 오시다」
등은 꼭 알아두자.
·鈴木(すずき)先生(せんせい)は いらったしゃいますか.
스즈끼 선생님은 계십니까?
·どうぞ,召(め)し上(あ)がって ください.
자, 드세요.
がっかり しました。
がっかり しました。
갓까리 시마시따
실망했습니다.
단어
がっかり 실망(낙담)하는 모양
しました 했습니다. (「する」의 과거존경형)
학습포인트
일본어로 '실망(낙담)하다'는「がっかりする」라고 한다.
한자어인 「落胆(らくたん)する : 낙담하다」,
「失望(しつぼう)する : 실망하다」라는 말도 있지만
회화체에서는 「がっかりする」를 많이 쓰고,「がっかり」라고만 해도
'실망했다'라는 말이 된다.
A: 今回(こんかい)は きっ合 格(ごうかく)すると 思(おも)ったのに...
がっかり しました。
이번엔 꼭 합격할 줄 알았는데...실망했습니다.
B: 大丈夫(だいじょうぶ)。元気(げんき)出(だ)して。
괜찮아. 힘내
今日(きょう)は授業(じゅぎょう)に出(で)られそうもない。
今日(きょう)は授業(じゅぎょう)に出(で)られそうもない。
(쿄- 와 쥬교- 니 데라레소- 모 나이) 오늘은 수업에 올 수 없을 것 같아.
단어
ㆍ今日(きょう) 오늘
ㆍ授業(じゅぎょう) 수업
ㆍ出(で)る 나가다, 나오다
포인트
「~そうもない」는 ‘~할 것 같다’의「~そう」에 강조의 조사인「も」를 붙이고,
거기에 부정표현인「ない」를 붙여서 ‘~할 것 같지도 않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A : 明日(あした)一緒(いっしょ)に行(い)こうと思(おも)っていたサーカーの
試合(しあい)、急用(きゅうよう)ができて行けそうもないよ。
내일 같이 가려고 했던 축구 시합 급한 일이 생겨서 갈 수 없을 것 같아.
B : 仕方(しかた)ないね。今度(こんど)一緒(いっしょ)に行こう。
할 수 없지 뭐. 다음에 같이 가자.
오늘의 일본어 회화 - 焼酎(しょうちゅう)
오늘의 일본어 회화 - 이시하라先生
焼酎(しょうちゅう) : 소주
----------------------------------------------------------------------------
*お酒(さけ) : 술 → 酒は百薬(ひゃくやく)の長(ちょう) : 술은 백약의 으뜸
*強(つよ)い : 세다. 강하다 ↔ 弱(よわ)い → イメージが強い : 이미지가 강하다
*時代(じだい) : 시대. 시절. 시기. 당시 → 時代おくれ : 시대에 뒤떨어짐
*若(わか)い : 젊다. 나이가 어리다. 미숙하다 → 若者(わかもの) : 젊은이. 청년 (青年(せいねん)
*付(つ)き合(あ)う : 사귀다. 교제하다. 행동을 같이하다 → 付き合い : 교제. 사귐
*割(わ)りと : 비교적 → 「割りに」라고도 한다.
→ 比較的(ひかくてき)는 일반회화에서는 잘 안쓴다.
*おいしい : 맛잇다 ↔ まずい : 맛없다 → 味がいい : 맛이 좋다 ↔ 味がわるい : 맛이 나쁘다
*ビール : 맥주 → 生(なま)ビール : 생맥주. ウィスキー : 위스키
----------------------------------------------------------------------------
岡田 : 韓国人(かんこくじん)はお酒(さけ)が強(つよ)いですが、
日本人(にほんじん)は強くないですね。金さんもお酒が強いですか。
金 : はい。
大学(だいがく)時代(じだい)ほどじゃないんですが、今(いま)でも強いほうです。
岡田さんのほうは。
岡田 : 若(わか)い時(とき)はかなり強かったんですけど、今は弱(よわ)いです。
金 : 付き合いはいいほうですか。
岡田 : 特(とく)に悪(わる)くないほうですけど、いいほうでもないです。
ところで、韓国焼酎(しょうちゅう)はどんなお酒ですか。
金 : 割(わ)りと安(やす)くて、おいしいお酒です。
----------------------------------------------------------------------------
오까다 : 한국인은 술이 세지만, 일본인은 세지 않아요.
김선생님도 술이 셉니까?
김 : 네, 대학교 때만큼은 아니지만, 지금도 센 편입니다. 오까다씨는요?
오까다 : 젊었을 때는 제법 셌었는데 지금은 약해요.
김 : 잘 어울리는 편입니까?
오까다 : 특별히 나쁜 편은 아니지만, 좋은 편도 아닙니다.
그런데 한국의 소주는 어떤 술입니까?
김 : 비교적 싸고 맛있는 술입니다.
----------------------------------------------------------------------------
*大学時代(だいがくじだい) : 대학교 시절 → 大学の時(とき) : 대학교 때
*ほど : 만큼, 정도
*今でも : 지금도, 지금이라도
*かなり : 꽤 → かなりの金額(きんがく) : 꽤 많은 금액
*どんな : 어떤
*安(やす)い : 싸다 ↔ 高(たか)い : 비싸다. 높다
さすが. 赤羽さんは 頭が いいですね。
さすが. 赤羽さんは 頭が いいですね。
사스가 아까하네상와 아따마가 이-데스네
단어
さすが 역시, 과연
頭(あたま)が いい 머리가 좋다
학습포인트
さすが 역시, 과연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표현 중의 하나인 「さすが」는 `역시, 과연` 이라는 뜻인데, 같은 `역시`라는 뜻의 「やはり」와 헷갈릴 수 있지만 「さすが」는 실력이 좋은 사람이 평판대로 일을 잘 해냇을 경우, 남을 칭찬할 때 쓰는 표현이다. 아래의 예문을 보면서 비교해 보자. ·さすが. できると 思(おも)った. 역시, 해 낼 줄 알았어. ·誰(だれ)かと 思(おも)ったら, やはり あなたでしたね. 누군가 했더니 역시 당신이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