どんどん,よろよろ,むかむか,がんがん
どんどん |
|
||
|
|||
よろよろ |
|
||
|
|||
むかむか |
|
||
|
|||
がんがん
|
|
||
|
|||
うんざり
|
|
||
|
あまり 高くない 物が いいじゃない。
あまり 高くない 物が いいじゃない。
아마리 타까꾸나이 모노가 이잉쟈나이
너무 비싸지 않은 것이 좋지 않을까?
단어
あまり 그다지
高(たか)い 비싸다
학습포인트
いいんじゃない 좋지 않을까 「いいんじゃない」는 `좋지 않을까`, `좋잖아`라는 뜻인데
이것은 「いいのではない」의 회화체 말투이다. 자주 쓰이는 표현이므로 주의해서 꼭 익혀두자.
A: キムさんに 誕生日(たんじょうび)の プレゼントを
あげたいんだけど, 何(なに)が いいかな。
김 씨에게 생일 선물을 주고 싶은데 뭐가 좋을까?
B: あまり 高(たか)くない 物(もの) が 委員(いいん)じゃない。
너무 비싸지 않은 것이 좋지 않을까?
お代わりも できます。
お代わりも できます。
오카와리모 데끼마스
더 달라면 더 줍니다.
단어
お代(か)わり 거듭 먹음
できる 가능하다
학습포인트
「お代(か)わり」는 같은 음식물을 거듭 먹는 것,
또는 그 음식을 말한다.「ごはんの お代わり」라고 하면
밥을 더 청하는 것을 말하고, 식사 중에 밥을 다 먹고
그냥「お代わり」라고만 해도 더 달라는 뜻이 된다.
A: この店(みせ)のおかずは本当(ほんとう)においしいですね。
이 음식점의 반찬은 정말 맛있네요.
B: お代(か)わりもできますから、たくさん食(た)べてください。
더 달라면 더 주니까 많이 드세요.
もう うんざりだ。
もう うんざりだ。
모- 웅자리다
이제 지긋지긋하다.
단어
もう 이제, 이미
うんざり 지긋지긋함
학습포인트
「うんざり」는 '어떤 것이 질려버려 싫어졌다'라는 뜻으로
「うんざりだ」,「うんざりする」와 같은 형태로 '지긋지긋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참고로 비슷한 말인「げんなり」도 알아두자.
A: もう 彼(かれ)の お説教(せっきょう)には うんざりだよ。
이제 그의 설교에 질려 버렸어.
B: あなたの ことを 心配(しんぱい)してるからだよ。
너를 걱정해서 그러는거야.
母親が 苦労しました。
母親が 苦労しました。
하하오야가 쿠로우시마시따
어머니가 고생을 하셨습니다.
단어
母親(ははおや) 어머니
苦労(くろう) 고생
point
「苦労(くろう)」는 '고생하고 애씀, 걱정함'이라는 뜻이다.
「苦労する」라고 하면 '고생하다'는 뜻이 되고 앞에 존경을 나타내는
「御(ご)」를 붙이면 다른 사람에게 신세를 지거나,
타인의 수고를 위로하는 말을 나타낸다.
「ご苦労さまでした : 수고하셨습니다」는 자주 쓰이므로 꼭 외워두자.
A: 鈴木(すずき)さんは 幼(おさな)い時(とき)、両親(りょうしん)が
亡(な)くなった そうです。
스즈끼 씨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돌아가셨다고 해요.
B: いろいろ 苦労(くろう)したでしょうね。
여러가지로 고생을 했겠군요.
今(いま)薬(くすり)を飲(の)んで寝(ね)ています。
今(いま)薬(くすり)を飲(の)んで寝(ね)ています。
(이마 쿠스리오 논데 네떼 이마쓰) 지금 약을 먹고 자고 있습니다.
단어
ㆍ今(いま) 지금
ㆍ薬(くすり)を飲(の)む 약을 먹다
ㆍ寝(ね)る 자다
포인트
「薬(くすり)を飲(の)む」는 직역을 하면 ‘약을 마시다’이지만,
우리말로 하면 ‘약을 먹다’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風邪(かぜ)を引(ひ)く : 감기에 걸리다」,「ギターを弾(ひ)く : 기타를 치다」,
「シャワーを浴(あ)びる : 샤워를 하다」,「ボールを打(う)つ : 공을 차다」와 같은
일본어의 관용표현을 잘 알아두어야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다.
電気(でんき)を消(け)してください。
전기를 꺼 주세요.
風邪(かぜ)を引(ひ)いて薬(くすり)を飲(の)んでぐっすり眠(ねむ)りました。
감기에 걸려서 약을 먹고 푹 잤습니다.
~とは限らない ~라고는 (단정) 할 수 없다
~とは限らない ~라고는 (단정) 할 수 없다
- 접속 : 동사의 기본형・い형용사의 종지형 +とは限らない
な형용사의 어간 ・명사+とは限らない
- 의미 : 반드시 그렇다고는 할수 없다는 예외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
- 値段が高いからといって質がいいとは限らない。
- 実力のあるチームがいつも勝つとは限らない。
- お金がたくさんあるからといって幸せとは限らない。
~てたまらない/~ずにはいられない/~てなら..
①~てたまらない : 너무~해서 견딜 수가 없다
견딜 수 없을 정도로 강하게 느껴지는 감정을 표현(=しょうがない)
<동사て形/イ형용사くて/ナ형용사で+たまらない>
-明日が受験(じゅけん)なので心配でたまらない。
내일이 입학시험이라 너무 걱정된다.
-学校の先輩が好きでたまらない。
학교 선배가 너무 좋아서 못 견디겠다.
-新しい靴を履(は)いたら足が痛くてたまらない。
새 신발을 신었더니 발이 아파서 견딜 수가 없다.
②~ずにはいられない :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무리 참으려고 해도 결국 하고 싶어지거나 행동을 하게 되는 상황.
<동사ない形+ずに(は)いられない※する→せずに>
-今回の試合(しあい)は注目せずにはいられない。
이번 시합은 주목하지 않을 수가 없다.
-あのコンサートでは歓声(かんせい)を上げずにはいられない。
그 콘서트에서는 함성을 지르지 않을 수 없다.
-彼はヘビースモーカでタバコを吸わずにはいられない。
그는 굉장한 애연가로, 담배를 피우지 않고는 견디지 못한다.
③~てならない : 너무~하다
애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기는 강한 감정, 기분.
<동사て形/イ형용사くて/ナ형용사で+ならない>
-ドラマの続きが気になってならない。
드라마의 다음 내용이 너무 궁금하다.
-母は兵隊(へいたい)に入っている弟のことが心配でならないようだ。
엄마는 군대에 가 있는 남동생이 너무 걱정되는가 보다.
※たまらない&ずにはいられない&ならない
세 표현 모두 ‘너무~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특히 たまらない,ずにはいられない는 ‘참을 수 없다’라는 느낌이 강하여 참을 수 없을 만큼~하다, 참으려고 해도~하게 된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ならない는 어떠한 기분이 ‘자연스럽게’생겨난 경우로, 대부분 감정, 감각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활용합니다. ずにはいられない와 ならない는 주로 문어체에서 쓰입니다.
彼は 時間を きちんと 守る 人です。
彼は 時間を きちんと 守る 人です。
카레와 지깡오 키찡또 마모루 히또데스
그는 시간을 잘 지키는 사람입니다.
단어
時間(じかん) 시간
守(まも)る 지키다, 준수하다
학습포인트
きちんと 정확하게 「きちんと」는 (규칙·예의·약속 등을) 정확하게 지키는 모양을 가리키며, 「きちんと守(まも)る」라고 하면 `정확하게 지키다`라는 뜻이 된다.
A: 何(なん)で そんなに 急(いそ)んですか。
왜 그렇게 서두르세요?
B: 丸太(まるた)さんは 時間(じかん)を きちんと 守(まも)る
人(ひと)だから,早(はや)く 行 (い)かないと だめですよ。
마루따 씨는 시간을 잘 지키는 사람이라 빨리 가지 않으면 안돼요.
部屋が 散らかっています。
部屋が 散らかっています。
헤야가 치라깟떼이마스
방이 지저분합니다.
단어
部屋(へや) 방
散(ち)らかる 어질러지다, 흩어지다
학습포인트
散らかって いる 어질러져 있다
「散(ち)らかる」는 `어질러지다`라는 뜻인데 「部屋(へや)が 散らかっている」
라고 하면 `방이 지저분하다`라는 뜻이 된다.
참고로 타동사인 `어지럽히다`는 「散らかす」이다.
A: 部屋(へや)が すごく 散(ち)らかっているね。
방이 너무 지저분하네.
B: 今(いま)から 大掃除(おおそうじ)でもしようか。
지금부터 대청소할까?
오늘의 일본어 회화 - 国際化(こくさいか)
오늘의 일본어 회화 - 이시하라先生
国際化(こくさいか)時代(しだい): 국제화시대
----------------------------------------------------------------------------
*上手(じょうず) :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 능수 ↔ 下手(へた) : 서투름
*少(すこ)し : 조금 → ちょっと (조금, 잠깐)
*あまり : (뒤에 否定語가 딸리어) 그다지, 별로
*韓国人(かんこくじん) : 한국인 *日本人(にほんじん) : 일본인
*商社(しょうしゃ)マン : 상사원 → ビジネスマン(businessman) : 비지니스맨
*本当(ほんとう)に : 정말로 → 本当ですか : 정말입니까?
*国際化時代(こくさいかじだい) : 국제화시대 → 世界化(せかいか) : 세계화
*外国語(がいこくご) : 외국어 → 外国の言葉(ことば) : 외국의 말
*重要(じゅうよう)だ : 중요하다 = 大事(だいじ)だ = 大切(たいせつ)だ : 소중하다
----------------------------------------------------------------------------
金 : 石川(いしかわ)さんは英語(えいご)が上手(じょうず)ですか。
石川 : 前(まえ)は少(すこ)し上手でしたが、今はあまり上手じゃないです。
金さんはじょうずでしょう。
金 : そうでもないです。下手(へた)です。
石川 : 韓国人(かんこくじん)は日本人(にほんじん)より英語が上手じゃないですか。
金 : そういえば、日本人は韓国人より英語が上手じゃないですね。
でも、日本の商社(しょうしゃ)マンの中(なか)には
英語が上手な人がたくさんいるでしょう。
石川 : とにかく国際化時代(こくさいかじだい)ですから
外国語(がいこくご)は重要(じゅうよう)ですよ。
----------------------------------------------------------------------------
김 : 이시카와씨는 영어를 잘합니까?
이시카와 : 전에는 조금 했었는데, 지금은 별로 잘하지 못합니다.
김 선생님은 잘하세요?
김 : 그렇지도 않습니다. 못합니다.
이시카와 : 한국인은 일본인보다 영어를 잘하잖아요.
김 : 그러고보면 일본사람은 한국사람만큼 영어를 잘 못하지요.
하지만, 일본의 상사원 중에는 영어를 정말 잘하는 사람도 많이 있어요.
이시카와 : 아무튼 국제화시대니까 외국어는 중요해요.
----------------------------------------------------------------------------
*英語(えいご) : 영어 → 英会話(えいかいわ) : 영어회화
*前(まえ) : 전, 앞 → 前には(전에는), 前に(앞에)
*ほど : 만큼
*そういえば : 그러고 보니
*とにかく : 하여튼 → ともかく : 딱딱한 말투
*外国の文化(ぶんか) : 외국의 문화
~とたん/~か~ないかのうちに/~かと思ったら
①~とたん(に) : ~하자마자
무언가를 하자마자 곧바로 예상하지 못했던 의외의 일이 일어난 상황.
<동사た형+とたん>
-ご飯を食べたとたん眠ってしまった。
밥을 먹자마자 잠들어 버렸다.
-彼女は不合格通知を聞いたとたん泣いてしまった。
그녀는 불합격통지를 듣자마자 울어버렸다.
-家に着いたとたん、雨がざあざあ降り始めた。
집에 도착하자마자 비가 쫙쫙 내리기 시작했다.
②~か~ないかのうちに : ~하자마자
~와 동시에. 두 가지 일이 거의 동시에 일어난 경우로, 뒤에 의지나 명령표현은 사용하지 않음.
<동사 사전형/동사た형+동사ない형+ないかのうちに>
-ベッドに入るか入らないかのうちに眠ってしまった。
침대에 들어가자 마자 잠들어 버렸다.
-話が終わったか終わらないかのうちに電話を切った。
이야기가 끝나자마자 전화를 끊었다.
-新商品(しんしょうひん)は棚に並ぶか並ばないかのうちに完売(かんばい)した。
신상품은 선반에 진열되자마자 다 팔렸다.
③~かと思ったら : ~한 듯 하더니 곧바로
어떤 행동, 상황이 끝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또 다른 일이 일어난 경우
<た+かと思ったら>
-雨が止んだかと思ったら、雪が降り出した。
비가 그쳤나 싶더니 갑자기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仕事が終わったかと思ったら、また上司(じょうし)に呼(よ)ばれた。
일이 끝났나 했더니 또 상사에게 불려갔다.
-娘は帰ったかと思ったらいきなり泣き始めた。
딸아이는 돌아오자마자 갑자기 울기 시작했다.
*~か~ないかのうちに&~とたん&~かと思ったら
세 표현 모두 '~하자마자'라고 번역되는 경우가 많고 비슷한 의미이지만 엄밀하게 구분하자면 두 가지 행동의 순서가 확실한지 아닌지의 차이가 있습니다.
ベッドに入るか入らないかのうちに는 잠이 든 것과 침대에 들어간 것 중 어느 것이 먼저였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ベッドに入ったとたん은 침대에 들어간 다음에 곧바로 잠이 든 것을 말합니다. ~かと思ったら와 とたん은 둘 다 어떤 일이 일어난 다음에 또 다른 일이 생긴 상황이지만 とたん이 좀더 '갑작스러운'느낌이 강합니다.
ごろごろ,ぴたっと,ばたばた
ごろごろ |
|
||
|
|||
ぴたっと |
|
||
|
|||
ごろごろ |
|
||
|
|||
ばたばた |
|
||
|
ぺたぺた,ぴんと,にやにや
ぺたぺた |
|
||
|
|||
ぴんと |
|
||
|
|||
にやにや |
|
||
|
|||
ぞっ |
|
||
|
|||
ぱらぱら |
|
||
|
昼ごはんは 何が いいですか。
昼ごはんは 何が いいですか。
히루고항와 나니가 이-데스까 점심식사는 뭐가 좋습니까
단어
・昼(ひる)ごはん 점심 식사
・いい 좋다
포인트
「昼ごはん」은 ‘점심 식사’라는 뜻으로「昼食(ちゅうしょく)」등으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아침식사는「朝(あさ)ごはん・朝飯(あさはん)・朝食(ちょうしょく)」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저녁 식사는 「夕(ゆう)ごはん・夕飯(ゆうはん)・夕食(ゆうしょく)」등을 사용할 수 있다.
A : 朝(あさ)ごはんはパンを食(た)べますか、ご飯(はん)を食(た)べますか。
아침식사는 빵을 드시나요, 밥을 드시나요?
B : 朝(あさ)は時間(じかん)がないので、ふつうパンを食(た)べます。
아침에는 시간이 없어서 보통 빵을 먹습니다.
~いかん・~いかんによらず・~いかんにかかわらず・~いかんを問わず
명사+(の)+いかん= ~이하/여부
<예문>
ー成績の向上は本人のやる気いかんによる
-성적의향상은본인의의지여부에달렸다
ー明日の天候いかんによっては山登りは中止になるかもしれない
-내일의날씨여부에따라등산은중지될지도모릅니다
―我が社の発展は君たちの努力のいかんにかかっている
-우리회사의발전은당신들의노력여부에달려있다
-----------------------------------------------------------------------------
명사+の+~いかんによらず・~いかんにかかわらず・~いかんを問わず
=~여하에관계없이/~여하에관계없이/~여하를불문하고
<예문>
1.~いかんによらず
ー納入された手数料は事情の如何によらず返還しません
-납입한수수료는사정여하의여부에관계없이 반환하지않습니다
2.~いかんにかかわらず
ー選挙結果のいかんにかかわらず、消費税は8%上がるでしょう
- 선거결과여하에관계없이,소비세는8%오를것입니다
3.~いかんを問わず
ー理由のいかんを問わず無断欠席は許されません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무단결석은 용납되지않습니다
겸양어 - 자기 자신을 낮추는 형태.
謙讓語(겸양어)
☞ 존경의 대상에게 자기 자신을 낮추는 형태.
▶ 겸양어 표현법
1. お(ご) + ます形 + する
書く(쓰다) → お書きする
待つ(기다리다) → お待ちする
2. ご + 한자어 + する
報告する(보고하다) → ご報告する
紹介する(소개하다) → ご紹介する
3. 사역동사를 て형으로 바꾼 다음 いただく를 붙인다.
行く(가다) → 行かせていただく
聞く(듣다) → 聞かせていただく
※ 상대방이 허락하면 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겸손한 표현이다.
家族計画を 立てる。
家族計画を 立てる。
카죠꾸께이까꾸오 타테루
가족계획을 세우다.
단어
家族計画(かぞくけいかく) 가족계획
立(た)てる 세우다
학습포인트
「立(た)てる」는 '세우다'라는 뜻이 대표적이지만 '추대하다, 생계를 꾸리다. 소문내다'
등 많은 뜻이 있다. 위 문장에서는 '(계획 등을) 정하다. 세우다'의 뜻으로 쓰였는데
이런 뜻으로 쓰인 것을 예문으로 익혀보면 「予算(よさん)を 立てる : 예산을 세우다」,
「予定(よてい)を 立てる : 예정을 세우다」가 있다.
A : 夏休(なつやす)みの 計画(けいかく)は 立(た)てましたか。
여름 휴가 계획은 세우셨나요?
B : まだですが。海外(かいがい)に 行こうと 思(おも)っています。
아직입니다만 , 해외로 가보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をもとに ~을 토대로, ~을 바탕으로
~をもとに ~을 토대로, ~을 바탕으로
- 접속 : 명사 + をもとに
- 의미 : 소재나 기준을 나타내는 표현
- このドラマは、実際にあった話をもとに作られたそうだ。
- 市民の要望をもとに、今後の計画を立てる。
- たくさんの資料を基に、報告書をまとめた。
~最中/~うちに/~かけの∙かける
*最中&うち
最中는 한창 무언가를 '하고 있는 상황'을 뜻하고, うち는 어떤 상태, 조건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기간/시간'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대접하면서 "따뜻할 때 드세요"라는 표현은 暖(あたた)かいうちに召(め)し上(あ)がってください라고 말합니다. 즉, 따듯한 상태가 변하지 않고 계속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드시라는 뜻입니다. 위의 예문에서 若いうちに는 나이가 들어서 '젊음'이 사라지기 전, 젊음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동안을 의미합니다.
1) ~最中(さいちゅう) : 한창~하는 중
무언가를 한창 바쁘게 진행하고 있는 상황을 표현.
<동사ている형/명사の + 最中>
-勉強の最中に友達が遊びに来た。
한창 공부를 하고 있을 때 친구가 놀러 왔다.
-今は食事(しょくじ)をしている最中だから、後で電話する。
지금은 식사 중이니까 나중에 전화할게.
-花見の最中に会社から呼ばれて先に帰ることになった。
한창 벚꽃구경을 하고 있을 때 회사에서 연락이 와서 먼저 돌아가게 되었다.
2) ~うちに : ~한 동안에
어떠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기간, 시간.
<동사 사전형/동사ている형/イ형용사い/ナ형용사な/명사の+うちに>
-若いうちに旅行をたくさんしたい。
젊을 때 여행을 많이 하고 싶다.
-親が生きているうちに親孝行(おやこうこう)したい。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 효도하고 싶다.
-何時間も彼の連絡を待っているうちに、いらいらしてきた。
몇 시간이나 그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는 동안에 짜증이 나기 시작했다.
3) ~かけの∙かける : ~하던 도중의
어떤 동작을 하다가 멈춘 모습, 혹은 계속되던 상황이 중단된 상태.
<동사ます형+かけの∙かける>
-飲みかけのコーラーが置いてあった。
마시던 콜라가 놓여 있었다.
-友達が言いかけた言葉が気になる。
친구가 하려던 말이 신경 쓰인다.
-家の前に死にかけの猫がいて病院に連れていった。
집 앞에 죽어가는 고양이가 있어서 병원에 데리고 갔다.